일반계시판

핼러원 데이의 의미

써~니 2022. 1. 9. 11:19

 

 

핼러윈(Halloween)데이의 의미 ◈

 

매년 10월 31일을 '핼러윈 데이'라고 하지요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에서도 이 날을 챙기는 사람들이 많아졌어요

특히 젊은 층이나 어린이들의 경우 평소에 하지 않던 '변장'을 할수 있다는 이유로

‘변장을 하고 즐기는 기회’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하지만 핼러윈은 분명 외국의 기념일(미국의 대표적 축제)이고

그런 만큼 나름의 역사와 유래가 있어요

핼러윈은 고대 켈트족의 삼하인(Samhain) 축제에서 비롯되었지요

켈트족은 1년의 끝을 10월 31일로 인식해 그날이 추수 기간이 끝나는 날이자

온기와 불빛과 작별하는 날(겨울이 시작되는 날)이라고 믿었어요

동시에 저승으로부터 유령이나 마귀가 찾아오는 날이라고 생각했으며

그래서 이들로부터 해를 입지 않기 위해 귀신 변장을 하고 음식을 나누어 먹으면서

악령들을 달래기 위한 일종의 제사(?)를 지냈던 것이지요

삼하인은 고대 켈트족에게는 산 자와 죽은 자들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아지는 때로서

죽은 이들과 소통하기 가장 좋은 때이자 미래를 예측하기에 가장 용이한 때로

믿고 있었다고 하지요

서기 800년 이후 로마 제국이 승리하면서 그리스도교의 전파와 함께

많은 켈트 전통이 로마 전통과 섞이게 되었는데

이때 삼하인 축제도 '모든 성인(聖人) 대축일(만성절)' 전날 밤의 행사로서

자리 잡게 되었어요

로마 가톨릭 교회는 11월 1일을 '모든 성인 대축일(만성절)'로 정하고

미사와 모닥불로써 또 천사와 성인의 복장을 한 신자들이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성인들을 기렸는데 이 날 'All Hallows' Day 또는 Allhallowmas'의 전야라는 뜻의

'All Hallows' Eve(n)'라는 말이 줄어서

'올핼러우윈(All Hallow e'en)' 또는 '핼러윈(Halloween)'이 된 것이지요
이것이 오늘날에는 가장 축약된 형태인 '핼러윈(Halloween)'으로 불리게 되었어요

가톨릭 문화권에서는 지금도 10월 31일 '핼러윈 (데이)'에 이어 11월 1일을

'모든 성인 대축일'로 기념하고 11월 2일은 '모든 죽은 이를 기억하는 위령의 날'로

기리고 있는데 그렇다면 원래는 핼러윈 데이보다

모든 성인 대축일이 더 중요한 날이자 기준이 된다는 이야기지요


핼러윈과 호박은 무슨 상관?
핼러윈 때 미국과 캐나다 등지에서 어김없이 등장하는 주황색 호박은

마치 단풍과도 같은 전형적인 가을 풍경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어요

특히 새벽녘 주황색 호박에 서리가 내려앉은 모습은

북미 문화권에서는 추운 겨울로 가는 길목에서

늦가을의 계절적 정취를 반영한 대표적 상징이기도 하지요

주황색 호박 속을 파내어 불을 밝힌

이른바 '핼러윈 호박'은 '잭오랜턴(jack-o'-lantern)'이라고도 불리는데

역사가 아주 오래되지는 않았어요

고대 아일랜드에서는 호박이 아니라 순무 또는 감자나 비트의 속을 파낸 후

껍질 부위에 악마의 얼굴을 조각해 악령을 쫓아내는 용도로 썼다고 하는데

이때도 안에 촛불이나 석탄을 넣어 두어 서서히 타들어가게 해놓고

집 창가나 문 언저리에 두어 악령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용도로 썼지요
무서운 표정이 악령들을 쫓아내고

사랑하는 사람들의 영혼은 반기는 역할을 할 것이라 믿었지요

그러던 것이 아일랜드 이민자들이 18세기 신대륙에 도착해

순무나 감자, 비트 대신에 호박이라는 구하기 쉽고 조각도 훨씬 더 용이한

대체물를 발견하면서 '핼러윈=주황색 호박'이라는 등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하네요


핼러윈 변장은 왜?
비슷한 맥락으로 삼하인 축제 때는 사람들이 동물 가죽이나 천으로 만든 가면을 쓰고

변장을 하는 풍습이 있었지요

사람들은 최대한 무서운 모습으로 변장을 하고 야외를 돌아다니면서

시끄럽게 소리를 냈다고 전해지는데

그럼으로써 악령들이 사람들도 자신들과 같은 악령이라고 생각해

해를 가하지 않기를 바랐다고 하지요

삼하인 때는 식탁에 세상을 떠난 사랑하는 사람들의 자리를 마련해두는 풍습도 있었는데

그러면서 음식은 집으로 들어오는 문 밖에다 두었어요

이렇게 해서 불만을 가진 혼령이 있다면

달래어 산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말아달라고 기원했다는 것이지요

이밖에 아이들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사탕을 구하는 '트릭오어트릿(trick-or-treat)'의 경우

중세에 가난한 사람들이 부잣집에 가서 '소울 케이크'라고 하는 빵 과자를 얻어오던

풍습에서 비롯됐다고 하는데 이들은 과자를 얻는 대신

과자를 준 집의 돌아가신 영혼들을 위해 기도를 해주므로 해서

서로 주고받는 풍습이었다고 하네요

요즘은 그저 즐기는 분위기로 변했지만

핼러윈은 한 해를 마무리하고 죽은 자들을 기리면서 다가올 새로운 한 해를 준비하는

마무리이자 시작의 의미를 동시에 지닌 '중요한 때'라는 뜻임을 알아야 하지요